민들레의 효능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습니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 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난데,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민들레가 대부분입니다. 서양민들레보다는 토종민들
레, 흰 꽃이 피는 노래가사에도 나오는 quot;하얀 민들레quot;가 제일 약효가 좋습니다.
흰 색 민 들 레
노 란 색 민 들 레
▶ 민들레의 효능
☞.소변불통에 좋고 호흡기질환 일체, 해열제, 건위제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쓰시고 아픈 것을 치료
☞.산모의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도 효과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
☞.각기, 수종, 천식, 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 담낭염,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
▶ 민들레 복용법
☞.이른 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습니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합니다.
☞.뿌리는 가을이나 봄에 캐서 된장에 박아 두었다가 장아찌로도 먹고 김치를 담가서도 먹습니다.
우엉과 함께 조려 먹어도 맛이 있고 기름에 튀겨 먹어도 일품입니다.
☞.민들레 꽃이나 뿌리는 술을 담급니다.
꽃이나 뿌리에다 2~2.5배의 소주를 부어서 20일 쯤 두면 담황색으로 우러납니다. 여기에 설탕이나 꿀은 넣고
한두 달 숙성시켰다가 조금씩 마시면 강정, 강장제로 효과가 좋습니다.
유럽에서는 채소로 샐러드 등으로 만들어 즐겨 먹습니다.
...........................................................................................................................................................
민들레를 밭에 가꾸어서 이른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내어 상자 같은 곳에 밀식한 다음 캄캄한 동굴 같은 곳
에두어 싹을 키웁니다. 우리나라에서 콩나물을 기르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런대로 먹을 만합니다.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렸다가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습니다.
lt; 토 종 민 들 레 gt;
☞.유선염, 유방암 : 생즙은 마시고 생즙 찌꺼기는 환부에 두껍게 붙입니다. 하루에 한 번씩 갈아 붙이고
생즙은 1일 1회 먹습니다.
☞.만성간염, 지방간 등의 간질환 : 민들레를 뿌리까지 캐서 그늘에서 말린 것 30~40그램에
물 1되(1.8리터)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누어 마십니다.
황달이나 간경화증 환자가 치유된 예가 많습니다.
☞.변비, 만성장염 : 4~5월에 민들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가루 내어 한 번에 10~15그램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습니다. 같은 양의 꿀과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더운물에 타서 먹어도 됩니다.
☞.천식, 기침 : 민들레를 생즙을 내어 한 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마십니다.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올 때 : 민들레 뿌리를 물로 진하게 달여 마시거나 생 잎을 무쳐 먹습니다.
☞.신경통 : 민들레의 꽃, 잎, 줄기, 뿌리를 달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십니다.
민들레
| | 어디서나 쉽게 구할수 있는 풀.. 아름답기까지한 꽃..번식이강해 골치거리인 민들레... 홀씨로 번식하기 빼문에 언디서나 강한 번식을 한다.. 그흔한것을 우리가 먹는다면 어느 비싼 약보다 더 요염을 얻을수 있다..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를 죽이며 간은 보호하고 머리카락은 검게하는 민들레, 우리 나라 천지에 깔려 있는것이 민들레이지만 사람들은 민들레가 그리 중요한 약재 인줄을 모르고 지낸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일본,인도,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들 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썼다. 옛 의서를 대강 찾아봐도 민들레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을 만큼 여러 질병에 효과가 뛰어난 약초이다.
민들레는 맛이 조금 쓰고 달며 약성은 차다. 독이 없으며 간, 위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젖을 잘 나오게 하며, 독을 풀고 피를 맑게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쑤시고 아픈것을 치료한다.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한다. 또한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가 있다. 각기, 수종,천식,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담낭염에도 좋으며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것, 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민들레는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과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방암, 유종의 고름을 없애는 힘이 매우 강하다. 또 산모의 젖을 나오게 하는데에도 효과가 크다.
민들레는 맛이 쓰다. 그런 까닭에 병충해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고 생명력이 몹시 강하여 도시의 시멘트 벽틈에서도 잘 자란다.
맛이 쓴 식물은 어느것이나 뛰어난 약성을 지니고 있다.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다. 이른 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한다.
미국에서 사는 우리는 앞마당 잔디에 너무 많이 뿌리를 내리고 피는 민들레 없에는 약까지 뿌리는데..이걸 약으로 쓴다면 더없이 좋은 약재일듯 싶다.. 그래서 부지런히 민들레를 케드시라 권하고싶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나다.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가 대부분이다. 서양 민들레보다는 토종 민들레, 흰 꽃이 피는 흰민들레가 제일 약효가 좋다.
민들레를 약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한다.
-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병 민들레 생잎을 깨끗하게 씻어서 씹어 먹는다.
쓴맛이 나지만 습관이 되면 그런 대로 먹을 - 만하다.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렸다가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다.
- 만성간염, 지방간 등의 간질환 민들레를 뿌리까지 캐서 그늘에서 말린 것
30~40그램에 물 1되(1.8리터)를 넣고 물이 -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황달이나 간경화증 환자가 치유된 보기가 더러 있다.
- 변비, 만성장염 4~5월에 민들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가루 내어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 같은 양의 꿀과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더운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
- 천식, 기침 민들레를 생즙을 내어 한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마신다.
-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올 때 민들레 뿌리를 물로 진하게 달여서 마시거나 생잎을 무쳐 먹는다.
- 신경통 민들레의 꽃, 잎, 줄기, 뿌리를 달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민들레의 효능사무국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습니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 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난데,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민들레가 대부분입니다. 서양민들레보다는 토종민들
레, 흰 꽃이 피는 노래가사에도 나오는하얀 민들레가 제일 약효가 좋습니다.
▶ 민들레의 효능
☞.소변불통에 좋고 호흡기질환 일체, 해열제, 건위제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쓰시고 아픈 것을 치료 ☞.산모의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도 효과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 ☞.각기, 수종, 천식, 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 담낭염,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 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
▶ 민들레 복용법
☞.이른 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습니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합니다.
☞.뿌리는 가을이나 봄에 캐서 된장에 박아 두었다가 장아찌로도 먹고 김치를 담가서도 먹습니다. 우엉과 함께 조려 먹어도 맛이 있고 기름에 튀겨 먹어도 일품입니다.
☞.민들레 꽃이나 뿌리는 술을 담급니다. 꽃이나 뿌리에다 2~2.5배의 소주를 부어서 20일 쯤 두면 담황색으로 우러납니다. 여기에 설탕이나 꿀은 넣고
한두 달 숙성시켰다가 조금씩 마시면 강정, 강장제로 효과가 좋습니다.
유럽에서는 채소로 샐러드 등으로 만들어 즐겨 먹습니다. |